728x90 채권공부4 [채권공부] 채권 만기 (Duration) 채권 만기 (Duration) 채권 신용등급과 동일하게 경기상황에 따라 채권의 만기(Duration) 선택도 달라진다. 그 이유는 신용등급 선택과 동일하다. 경기 상승기에는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반대로 경기 하락기에는 보수적으로 투자하기 위함이다. 2023.01.26 - [분류 전체보기] - [채권공부] 채권 신용등급/가산금리 [채권공부] 채권 신용등급/가산금리 신용등급 경제 상황에 따라 투자하는 방법을 달리해야 한다. 상승기에서는 공격적으로 투자해야 하며, 반대로 경기 하락기에는 보수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채권 투자도 마찬가지다. 채권의 신 jevestor.tistory.com 일반적으로 단기채권 보다 장기채권의 금리가 높다. 이는 장기 대출시 돈을 회수하지 못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 2023. 1. 27. [채권공부] 채권 신용등급/가산금리 신용등급 경제 상황에 따라 투자하는 방법을 달리해야 한다. 상승기에서는 공격적으로 투자해야 하며, 반대로 경기 하락기에는 보수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채권 투자도 마찬가지다. 채권의 신용등급에 따라 공격적이고 보수적인 투자를 해야 한다. 채권의 신용등급은 해당 채권의 부도 가능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채권의 신용등급이 높다는 것은 해당 채권을 발행하는 기관이 부도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비교적 안전한 투자처로 인식할 수 있다. 국채가 그 예시가 될 수 있는데, 특히 그 중에서도 미국, 일본, 한국 등의 국채가 아주 우량한 채권으로 평가 받는다. 따라서 위와 표와 같이 경기 상승기에 이머징채권이 추천되는 이유는 이머징채권의 신용등급이 낮아 공격적인 투자처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이머징의 특징은 성장성.. 2023. 1. 26. [채권공부] 채권의 수익구조 (채권가격과 시장금리) 채권의 이자수익과 자본수익 채권의 수익 구조는 이자수익과 자본수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자수익은 우리에게 익숙한 예금과 같이 만기까지 가져갔을 때 이자로 얻을 수 있는 수익이며, 자본수익은 주식과 같이 사고 팔 때의 시세차익으로 얻을 수 있는 수익이다. 채권의 수익구조 = 이자수익 + 자본수익 두 개념 모두 우리에게 익숙해 이해하기 어렵진 않다. 그래도 예시를 들어 한번 완벽히 이해해 보자. A친구가 나에게 100만원을 5년 동안 빌려 달라 부탁했다. 그리고 매년 5%의 이자를 챙겨주겠다는 조건도 제시해주었다. 당신은 조건이 마음에 들어 승낙했고, 이 내용을 보증하는 영수증을 A친구로부터 받았다. 1년이 지나 당신은 5% 이자수익, 즉 5만원을 받았다. 영수증을 통해 당신은 이자수익을 얻은 것이다. 다시.. 2023. 1. 22. [채권공부] 채권의 기본 개념 (채권 가격과 금리) 만일 당신이 채권을 처음 접했다면 그 구조를 이해하는 데 다소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채권이 생소해서 때문이 아니라 채권이라는 상품 자체가 우리가 일반적으로 익숙한 예금, 주식과 다소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채권은 이자 수익이 있어 금리 개념도 가지고 있고, 또 만기가 있어 기간의 개념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아주 복잡하게도 이러한 개념 때문에 금리와 가격이 반비례하는 구조도 가지고 있다. 아마 대다수는 이 부분에서 혼란을 느낄 것이다. 다만,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채권 금리가 높아지면 채권 가격이 떨어지고, 반대로 채권 금리가 낮아지면 채권 가격이 높아진다는 이상한 논리 앞에서 누구나 머리를 싸매고 고민했을 테니까. 채권은 복잡하지만 간단한 예시를 보면 그 구조를 .. 2023. 1. 21.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