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벗(Pivot)이란 용어는 원래 체육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몸의 중심축을 한 발에서 다른 발로 옮기며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영어에서 'pivot'은 무언가를 회전축 위에 놓거나, 회전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됩니다.

증시에서 '피벗'이라는 용어는 특히 미국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줄여서 Fed)의 경제 정책 방향에 대한 전환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는 기조를 유지하다가 금리 인상 속도를 완화하거나 금리를 인하로 전환하는 경우, 이러한 행동을 '피벗' 또는 '피벗팅(pivoting)'이라고 표현합니다. 이는 기존 정책에서의 방향 전환을 의미합니다.
'페드 피벗(the Fed Pivot)'이란 용어는 특히 미연준이 금리를 인상하던 방향을 180도 바꿔 금리 인하를 시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금융 시장에서 중요한 변화로 간주되며, 이러한 전환 기대감은 증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리 인상 속도 조절 또는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증시 상승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피벗 (Pivot) vs 테이퍼링 (Tapering)
'피벗'과 '테이퍼링'은 모두 금융 시장과 경제 정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로, 특히 중앙은행의 정책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두 용어 모두 경제 상황에 대응하는 정책의 변경을 의미하지만, 그 구체적인 내용과 적용 상황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피벗(Pivot)
- 정의: '피벗'은 경제 정책, 특히 금리 정책의 방향 전환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중앙은행이 금리 인상에서 금리 인하로 정책을 바꾸는 것을 '피벗'이라고 합니다.
- 적용 상황: 금융 시장의 상황이나 경제 데이터가 변하면서 중앙은행이 기존 정책에서 벗어나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할 때 사용됩니다.
- 예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인상하던 정책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금리 인하를 시작하는 경우.
테이퍼링(Tapering)
- 정의: '테이퍼링'은 중앙은행이 금융 위기 등의 특별한 경제 상황에서 시행한 양적 완화 정책을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경제가 안정화됨에 따라 시장에 공급된 유동성을 조절하기 위한 조치로, '출구 전략'의 일종입니다.
- 적용 상황: 경제가 회복 국면에 접어들거나 과도한 유동성으로 인해 부작용이 우려될 때 적용됩니다.
- 예시: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양적 완화를 통해 경제를 지원하던 중앙은행이 경제 회복에 따라 양적 완화 정책의 규모를 줄이는 경우

두 용어의 주요 차이점은 그 적용되는 경제 상황과 정책의 성격에 있습니다. '피벗'은 주로 금리 정책의 근본적인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반면, '테이퍼링'은 금융 위기 등 특별한 상황에서 시행된 양적 완화 정책을 점진적으로 줄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두 용어는 모두 중앙은행의 정책 변화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이러한 변화는 금융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

'재밌는 이야기 > 둘러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캐리 트레이드(Yen Carry Trade)란 무엇인가 (0) | 2023.12.17 |
---|---|
유상증자란 무엇인가 (0) | 2023.12.15 |
GPTs (MyGPT) 사용법 : 나만의 chatGPT 만들기 1탄 (0) | 2023.12.11 |
프레임워크(Framework)이란 무엇인가 #랭체인 (0) | 2023.12.10 |
랭체인(LangChain)이란 무엇인가 (0) | 2023.12.10 |
댓글